TS (2) 썸네일형 리스트형 tanstackQuery에서 useQuery, useMutation 타입 지정하기 React Query는 서버 상태 관리를 간단하고 효율적으로 할 수 있게 해주는 강력한 라이브러리이다React Query는 제네릭 타입 형식으로 지원하고 있다 그래서 제네릭을 잘 사용한다면 타입을 보장 받으면서 편리하게 데이터를 다룰 수 있다 ! 타입 지정을 안하면, 대부분 unknown, any 타입을 사용하고 있기 때문에 명시적으로 타입을 지정해서 비동기 상태의 타입 안정성을 확보하자 useQueryuseQuery 타입은 아래와 같다export function useQuery TQueryFnData , TError queryFn의 리턴값const { data, error } = useQuery(['todo'], getTodo);// data = number | undefined// error = Ax.. [TS] type과 interface 차이와 index signature 타입스크립트에서 타입을 지정하는 방식에는 2가지가 있다type과 interface를 비교해보자 interface- 확장(extends), (다중)상속이 가능하다- 동일한 이름을 여러번 사용 가능(= 하나로 병합) props를 정의할 때 사용한다interface A { a: string;}interface B { b: string;}interface C extends A, B { c: string;}const example: C = { a: "a", b: "b", c: "c"};interface Car { drive(): void; // 메소드 wheels: number;}interface Boat { sail(): void; sails: number.. 이전 1 다음